반응형 전체 글208 사람마다 눈동자 색이 다른 이유 눈은 카메라에 비유되는데, 조리개에 해당하는 것이 홍채입니다. 눈을 정면에서 봤을 때 검은 눈동자 안으로 보이는 부분이죠. 홍채 가운데에는 빛이 통과하는 동공이라는 창이 있습니다. 이곳을 통해 빛이 망막까지 전달됩니다. 홍채에는 멜라닌 색소가 있는데, 색소가 많으면 검거나 갈색 눈동자가 되고, 적으면 파란색이나 초록색 눈동자가 됩니다. 멜라닌 색소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때문에 색소가 적으면 태양 빛이 필요 이상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파란 눈동자를 가진 사람은 멜라닌 색소가 적어 검은 눈동자를 가진 사람보다 자외선의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 하지만 스키장 같이 빛이 무척 강한 곳에서는 검은 눈동자든 파란 눈동자든 모두 선글라스를 써서 반드시 눈을 보호해야 합니다. 인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해왔습니다. .. 2022. 8. 8. 혈관이 푸른색으로 보이는 이유 우리의 몸에 흐르는 혈액은 빨간색인 것을 모두 알고 계실 겁니다. 피 색깔은 빨간색이니까요. 그런데 피부에 비친 혈관은 푸른빛을 띱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피부에 보이는 혈관이 모두 정맥이기 때문입니다. 온몸을 다 돌고 나오는 정맥의 피는 산소를 잃은 상태이기 때문에 몸 안의 찌꺼기와 이사화탄소만을 가지고 있어 검푸른색을 띠는데, 이것이 피부색과 합쳐서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반면 동맥은 몸속 깊은 곳에 있어 보이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혈관벽이 두꺼운 대동맥은 새하얗지만 혈관벽이 얇은 것은 반투명합니다. 그래서 혈관을 흐르는 혈액이 잘 보입니다. 그렇다면 혈액이 붉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적혈구에 철의 주성분인 헤모글로빈이라는 혈색소가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헤모글로빈은 원래 붉은색인데, 산소와 만.. 2022. 8. 5. 똥에서 냄새가 나는 이유와 방귀를 참으면 일어나는 일 대변은 냄새나고 더럽다고 인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래서 대화중이나 식사시간에는 대변 이야기를 하지 않는 것이 예의입니다. 그러나 대변은 배출되지 않으면 건강에 이상이 생길 정도로 매우 중요한 것이므로 절대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됩니다. 음식물을 섭취하면 수분과 수화 효소 이외에 장벽의 상피세포와 담즙 등이 더해지고, 주로 소장에서 소화와 흡수가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남은 성분이 대장으로 이동해 대변의 원형이 됩니다. 대장으로 간 대변의 원형이 제대로 된 대변이 되려면 두 번의 중요한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첫째 대장에 살고 있는 장내 세균이 작용해 남은 영양소를 분해하는 것입니다. 이때 발생하는 가스가 바로 방귀입니다. 특히 아미노산의 일종인 트림토판이 장내 세균으로 분해되어 생기는 스카톨과 인돌이 .. 2022. 8. 4. 사당역 돼지갈비 맛집 - 서래갈비 사당역 음식점이 많이 몰려있는 사당역 10번 출구 나오자마자 골목으로 들어오면 돼지갈빗집이 있습니다. 이름은 서래갈비 !! 입구는 이렇습니다. 간판이 크기 때문에 지나칠 수가 없어요 ㅎㅎ 메뉴는 돼지 양념갈비, 삼겹 갈비, 소갈비, 소갈빗살, 토마호크 스테이크가 있습니다. 저희는 가장 기본적인 돼지 양념갈비를 시켰어요. 1인분에 250g이니 참고하세요. 밑반찬은 이렇게 나옵니다. 김치, 양파절임, 쌈무, 상추, 샐러드 등이 다양하게 나옵니다. 다 먹으면 셀프코너에서 리필이 가능하니 맘껏 먹을 수 있습니다. 고기는 초벌구이가 돼서 나옵니다. 그래서 더 빨리 먹을 수 있어요. 이 정도로 잘라서 나오기 때문에 그냥 먹어도 되고 크면 한번 잘라서 먹어도 됩니다. ㅎㅎ 고기랑 같이 먹으려고 된장찌개와 누룽지를 시.. 2022. 8. 4.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5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