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보글120 비행으로 인한 시차를 적응하는 방법 해외여행을 다녀오면 시차로 인해 피로를 느끼는 사람이 많습니다. 피로를 풀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요? 어떤 사람은 시차 적응을 잘하려면 멜라토닌을 복용하라고 충고합니다. 멜라토닌은 뇌의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생체시계와 같은 작용을 합니다. 즉 신체가 지금이 하루 중 몇 시인지를 알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입니다. 장기간 비행을 한 후 며칠간 멜라토닌을 먹으면 쉽게 적응이 된다며 강력히 추천을 합니다. 최근 연구 결과에서도 장기간 비행을 한 후 2~5밀리그램의 멜라토닌을 한 사흘간 섭취하는 것이 효과가 있다는 게 밝혀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미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슈퍼에서도 멜라토니을 살 수 있지만 여러 국가에서는 처방전 없이는 구매가 불가능 합니다. 그렇다면 시차를 극복할 수 있는 .. 2022. 7. 22. 철로에 돌을 깔아 놓는 이유 기찻길이나 지하철 역사에서 철로 바닥에 자갈이 깔린 것을 본 적이 있을 겁니다. 물론 요즘 지하철은 안전문이 설치되어 있어서 철로 안을 들여다보기가 어렵고, 자갈이 아닌 콘크리트로 된 철로도 많아서 못 본 사람도 있을 겁니다. 그런데 철로에 왜 돌을 깔아 놨을까요? 혹여나 차량이 이동하는 도중에 돌에 걸리기라도 하면 위험할 텐데 말입니다. 먼저 기차가 다니는 길인 궤도는 레일과 레일을 받치는 나무토막인 침목, 철로의 토대가 되는 바닥인 노반 등으로 구성됩니다. 궤도의 구조에서 침목과 노반 사이에 있는 부분을 도상이라고 하며, 도상은 침목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고 침목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노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도상이 자갈로 이루어지면 자갈 도상 궤도,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면 콘.. 2022. 7. 18. 비가 오면 개미집이 물에 잠길까? 개미의 서식 공간인 개미집은 땅이나 나무에 굴을 파서 만드는 것으로 상당히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방마다 각자 쓰임이 존재합니다. 여왕개미 방, 고치방, 애벌레 방, 음식 저장 방, 수개 미방, 시체 방 등 인간이 방의 용도를 구분하는 방식과 비슷하게 개미도 방을 구분해서 사용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생깁니다. 개미집 출입구는 구멍만 있고 문이 없어서 외부와 바로 연결이 됩니다. 만약 비가 오면 구멍 안으로 빗물이 들어갈 것이고, 그러면 개미집이 물에 잠기지 않을까요? 개미가 지금까지 잘 살아온 것으로 보면 이에 대비한 그들만의 특별한 생존 방식이 있는 듯합니다. 개미는 아무 곳에나 집을 짓지 않습니다. 땅속이나 바위 밑, 나무 밑이나 속 등 살아가기에 적합한 공간인지 매우 신중하게.. 2022. 7. 15. 공중화장실의 고체 비누의 위생 손 씻기가 질병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이야기를 들어 봤을 겁니다. 그래서 우리는 수시로 손을 씻으며, 물로만 씻는 것이 아니라 비누 같은 세정 물품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공중화장실이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손을 씻을 때 고체 비누가 있으면 왠지 비위생적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가 손을 씻는 이유는 눈에 보이지 않는 무수한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서이고 그러면 비위생적인 상태의 손을 비누에 접촉해야 합니다. 그런데 공중화장실 특성상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세균으로 가득한 손으로 고체 비누를 만졌다고 생각하니 의문이 생깁니다. 세균 가득한 손으로 비누를 만졌다면 그 비누는 오염된 상태가 아닐까요? 그러고 이런 비누를 사용해서 손을 씻으면 손이 더 더러워지지 않을까요? 이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누의 세정 .. 2022. 7. 14.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30 다음 728x90 반응형